Kokelaat, joiden äidinkieli ei ole suomi, ruotsi eikä saame, voivat suorittaa suomi tai ruotsi toisena kielenä ja kirjallisuus -kokeen[1]. Jokainen ylioppilaskoe arvostellaan erikseen. Mikäli kokelas on saanut neljässä ylioppilaskokeessa hyväksytyn arvosanan tietyin lisäehdoin (ks. ylioppilastutkinto), hän on suorittanut ylioppilastutkinnon ja hänestä tulee ylioppilas.
윌리오필라스코에는 핀란드의 대학 입학 시험이다. 시험은 크게 국어(핀란드어), 수학, 외국어, 사회 및 과학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분류되며, 수험생은 이중 네 가지 영역 이상에서 한 과목 이상을 선택해서 응시해야 한다. 각 과목은 개별 점수가 매겨지며, 학생이 필요한 조건(윌리오필라스툿킨토 참조)을 충족시키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Kokeiden järjestäminen
시험의 구성

Yksikään kokelas ei kuitenkaan voi osallistua kokeisiin näinä kaikkina päivinä. Vaikka hän kirjoittaisi samalla tutkintokerralla kaksi reaaliainetta, matematiikan, pitkän kielen, lyhyen kielen ja toisen kotimaisen kielen, hänen on silti valittava äidinkielekseen joko suomi, ruotsi tai saame. Koska saame äidinkielenä kirjoitetaan eri päivänä kuin suomi ja ruotsi, jää kokelaalle väkisinkin vähintään toisen kokeen päivä vapaaksi.
시험은 1년에 두 번 시행된다. 듣기 시험에 3일이 할당되며, 한 번의 시행에 소요되는 총 기간은 9일이다. 듣기 시험은 보통 월요일에서 수요일 사이에 진행된다. 가을 듣기 시험은 9월 초에, 봄 시험은 2월 초에 시행된다. 반면 지필 고사는 9월 말~10월 초와 , 3월에 각각 월·수·금요일에 시행된다.[1] 국어(핀란드어)는 문해력을 측정하는 비문학 시험과 작문 시험이 두 번에 걸쳐서 나누어서 치러진다. 모국어가 핀란드어, 스웨덴어 또는 사미어가 아닌 응시자는 핀란드어나 스웨덴어를 제2외국어 과목으로 응시할 수 있다.[2] 수학은 단답형 및 객관식으로 구성된 짧은 시험과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된 시험이 나누어 치러진다. 사회 및 실기 과목들은 한 가지 단계의 시험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사회 과목의 경우 여러 개의 문항들 중 응시자가 일정 수의 문항을 영역 별로 선택하여 서술형 답안을 제출한다.

Kirjalliset kokeet järjestetään yleensä koulujen liikunta- ja juhlasaleissa tai suurissa luokissa. Työskentelyä seuraavat valvojat, joita tulee olla kokelasmäärästä riippuen seuraavan taulukon mukaisesti[3]:
필기 시험은 체육관이나 학교 등 대규모 공공 장소에 고사장이 조성된다. 각각의 단위 고사장에는 다음 표와 같이 학생 수에 따라 여러 명의 감독관이 배정된다.[1]

Kokelaiden määrä Valvojien määrä vähintään 1 1 2–25 2 26–40 2–3 41–60 3–4 61–80 3–5 81–100 4–6
응시자 수 최소 감독관 수 1 1 2–25 2 26–40 2–3 41–60 3–4 61–80 3–5 81–100 4–6

Lähteet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