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10 years Ahn has successfully lead the e-Commerce operation Nolbuu.com (Specializing in Fashion & Accessories) to YTmall (Ranked at 18th on Rankey.com), and used the acquired know-hows to launch Koreanmall, an overseas-import shopping mall.
얀트리
기업 정황
2015년 12월 1일에 코리안몰 새로운 로고를 적용 하였다.
로고
2015년 12월 ~ 현재
2015년 12월 1일에 코리안몰 새로운 로고를 적용 하였다.
국제 서비스
Jisu Park (born 13 February 1990 박지수 ) is a South Korean professional StarCraft: Brood War player and Starcraft II player playing under the name ForGG.
박지수(1990년 2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종족은 테란이며 ForGG라는 아이디를 사용하고 있다.
Park joined Korean Team Hwaseung Oz (later Lecaf Oz) in 2006 at the age of 16. In 2008 he won the Arena MSL , defeating two of StarCraft's strongest players, Flash and JaeDong. His very aggressive and precise playstyle earned him the nickname "Time attacker".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르까프 OZ(현 화승 OZ)의 5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In March of 2009, Park left Hwaseung OZ to join KT Rolster.
2009년 3월 화승 OZ에서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로 이적하였다.
On December 28th 2010, Park announced his retirement from StarCraft: Brood War. He came back to progaming in September of 2011 as a Terran player for Team oGs in StarCraft II.
2010년 12월 28일 갑작스럽게 은퇴를 선언했다.
He made his debut in Code S in the 2012 GSL Season 1, after securing a spot through Code A.
2011년 9월 스타2 프로게임단 oGs에 입단하며 스타2 프로게이머로서의 생활을 선언했다. 스타2에서도 종족은 테란으로 플레이 하고 있다.
After the disbandment of oGs he left Korea to join French Team Millenium on June 28th 2012. His move to France allowed him to play in various European tournaments, the first being ASUS Rog Summer 2012, in which he took 3rd place. By winning Dreamhack Winter in November of 2014, he became the third BroodWar Champion after Jaedong and Flash to win a major tournament in StarCraft II.
소속팀이 해체된 후 2012년 6월 28일 밀레니엄에 입단, 해외에서 활동중이다.
On December 4th 2015, following his move back to Korea, Park left Millenium after over three years.
2015년 12월 4일 밀레니엄과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Accomplishments
주요 기록
StarCraft: Brood War
스타크래프트
2005 Kizzu Event League (1st) 2007 Shinhan Bank OSL Season 3 (Round of 24) 2007 GomTV MSL Season 3 (Round of 16) 2008 GomTV MSL Season 4 (Round of 32) 2008 GOMTV TG Sambo-Intel Classic Season 1 (Round of 8) 2008 Arena MSL 2008 (1st) 2008 Incruit OSL (Round of 36) 2008 2008 Club Day Online MSL (Round of 16) 2008 GOMTV TG Sambo-Intel Classic Season 2 (Round of 32) 2009 Lost Saga MSL (Round of 8) 2009 Avalon MSL (Round of 16) 2009 EVER OSL (Round of 36) 2009 NATE MSL (Round of 32) 2010 Korean Air OSL Season 1 (Round of 8) 2010 Bigfile MSL (Round of 8) 2010 Korean Air OSL Season 2 (Round of 36) 2010 Bacchus OSL (Round of 36) 2010 PDPop MSL (Round of 32)
2005년 키주 이벤트 리그 우승 2006년 제20회 커리지 매치 입상 2006년 제5회 주장원전 C조 1위 2007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 24강 2007년 곰TV MSL 시즌3 16강 2008년 곰TV MSL 시즌4 32강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8강 2008년 아레나 MSL 2008 우승 (3:0 이제동) 2008년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 2008년 클럽데이 온라인 MSL 16강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 32강 2009년 로스트사가 MSL 2009 8강 2009년 아발론 온라인 MSL 2009 16강 2009년 EVER 스타리그 2009 36강 2009년 NATE MSL 2009 32강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8강 2010년 빅파일 MSL 2010 8강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2 36강 2010년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2010년 피디팝 MSL 2010 32강
StarCraft II
스타크래프트 II
2011 Sony Ericsson Global StarCraft II League Nov.
2011년 2011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Nov.
Code A (Round of 12) 2012 Hotsix Global Starcraft II League Season 1 Code S (Round of 32) 2012 Hotsix Global Starcraft II League Season 2 Code S (Round of 32) 2012 Global StarCraft II League Season 3 Code A (Round of 32) 2012 ASUS ROG Summer (3rd) 2012 Campus Party Europe (Round of 4) 2012 Numericable M-House Cup 2 (2nd) 2012 Millenium Show Cup (1st) 2012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2 (2nd) 2012 DreamHack Open: Valencia (2nd) 2013 WCS Europe Season 1 Premierleague (Round of 4) 2013 WCS Season1 TG Sambo-Intel Finals (Round of 8) 2013 WCS Europe Season 2 Premierleague (Round of 32) 2013 DreamHack Open: Bucharest (Round of 8) 2013 WCS Europe Season 3 Premierleague (Round of 16) 2013 DreamHack Open: Winter (Round of 16) 2013 Numericable M-House Cup 3 (Round of 4) 2013 Dailymotion Cup 2013 (Round of 4) 2014 ASUS ROG Winter 2014 (Round of 4) 2014 IEM Season VIII - Cologne (Round of 16) 2014 Gamers Assembly 2014 (1st) 2014 2014 WCS Europe Season 1 Premierleague (Round of 32) 2014 Fragbite Masters 2014 Spring (Round of 8) 2014 DreamHack Open: Summer (Round of 16) 2014 2014 WCS Europe Season 2 Premierleague (Round of 4) 2014 2014 DreamHack Open: Valencia (Round of 32) 2014 2014 DreamHack Open: Stockholm (Round of 4) 2014 2014 WCS Europe Season 3 Premierleague (Round of 8) 2014 2014 DreamHack Open: Winter (1st) 2014 IEM Season IX - San Jose (Round of 8) 2015 IEM Season IX - Taipei (Round of 16) 2015 2015 WCS Season 1 Premierleague (Round of 8) 2015 2015 DreamHack Open: Tours (Round of 32) 2015 2015 WCS Season 2 Premierleague (Round of 16) 2015 IEM Season X - Gamescom (Round of 8) 2015 2015 WCS Season 3 Premierleague (Round of 4)
Code A 12강 2012년 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S 32강 2012년 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Code S 32강 2012년 2012 무슈제이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Code A 32강 2012년 ASUS ROG Summer 2012 3위 2012년 Campus Party Europe 4강 2012년 Numericable M-House Cup 2 준우승 2012년 Millenium Show Cup 우승 2012년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2 준우승 2012년 DreamHack Open: Valencia 준우승 2013년 2013 WCS 유럽 시즌 1 프리미어리그 4강 (2013 WCS 시즌 1 파이널 진출) 2013년 2013 WCS Season1 TG삼보-Intel Finals 8강 2013년 2013 WCS 유럽 시즌 2 프리미어리그 32강 2013년 2013 WCS 유럽 시즌 2 챌린저리그 40강 2013년 2013 DreamHack Open: Bucharest 8강 2013년 2013 WCS 유럽 시즌 3 프리미어리그 16강 2013년 2013 WCS 유럽 시즌 3 챌린저리그 16강 2013년 2013 DreamHack Open: Winter 16강 2013년 Numericable M-House Cup 3 4위 2013년 Dailymotion Cup 2013 4위 2014년 ASUS ROG Winter 2014 4강 2014년 IEM Season VIII - Cologne 16강 2014년 Gamers Assembly 2014 우승 2014년 2014 WCS 유럽 시즌 1 프리미어리그 32강 2014년 Fragbite Masters 2014 Spring 8강 2014년 DreamHack Open: Summer 16강 2014년 2014 WCS 유럽 시즌 2 프리미어리그 4강 2014년 2014 DreamHack Open: Valencia 32강 2014년 2014 DreamHack Open: Stockholm 4강 2014년 2014 WCS 유럽 시즌 3 프리미어리그 8강 2014년 2014 DreamHack Open: Winter 우승 (4:2 이승현) 2014년 IEM Season IX - San Jose 8강 2015년 IEM Season IX - Taipei 16강 2015년 2015 WCS 시즌 1 프리미어리그 8강 2015년 2015 DreamHack Open: Tours 32강 2015년 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 16강 2015년 IEM Season X - gamescom 8강 2015년 2015 WCS 시즌 3 프리미어리그 4강
Table of contents
개요
Apollo syndrome is phenomenon that the group which consists of professional members shows low-quality achievements. 경영학자 메러디스 벨빈이 《팀 경영의 성공과 실패》라는 책을 통해 도입한 용어이다.(국문명 "팀이란 무엇인가",라이프맵 // 영문명 : Management teams : why they succeed or fail.)
아폴로 신드롬이란 뛰어난 인재들만 모인 집단에서 오히려 성과가 낮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경영학자 메러디스 벨빈이 《팀 경영의 성공과 실패》라는 책을 통해 도입한 용어이다.(국문명 "팀이란 무엇인가",라이프맵 // 영문명 : Management teams : why they succeed or fail.)
Apollo syndrome
아폴로 신드롬
An example of a ddakjibon novel cover
대장부
Ddakjibon, which literally means "ddakji novel," was a popular type of book format during the early 1910s, when Korea was under Japanese imperial rule. Around this time, esoteric books were becoming less popular, while books meant for leisurely reading were becoming more common. Thus, many novels meant for light reading were published in this format during this time.
딱지본 소설은 1910년대 초반, 한국의 일제강점기 시대에 값이 싸고 부피가 적어 서민들도 휴대하기 편하게 제작되었던 소설책이다. 경판(京板) 등으로 불린다. 표지가 딱지처럼 울긋불긋하게 채색되어 딱지본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The name "ddakjibon" comes from the name of the scraps of paper used to play a traditional Korean version of milkcaps, which were called ddakji. Ddakjibon covers were quite colorful, just as ddakji were, hence the name. Ddakjibon were also called "gyungpan." (京板 in Hanja) Ddakjibon were popular due to their cheap cost and portable size; they often cost no more than 6 Korean won, and were made to be quite thin.
1900년대 계몽적인 흐름이 끊기고, 오락적이고 대중적인 내용이 크게 유행했으며, 6전 밖에 하지 않는 값과 휴대하기 편하게 적은 부피 탓에 소설의 보급과 유통이 신속해지고 용이해졌다.[1] 대표 작품으로는 《사씨남정기》 등이 있다.
Ddakjibon novels
딱지본 소설
The torreya nucifera of Kang-Jin Sam In-li is a coniferous tree in Jeollanam-do, Kang Jin-gun, Byoung Young-myun, Sam In-li. It is enlisted as South Korea's 39th National Monument. Its original name was 'the torreya nucifera of Byoung Young-myun', but was changed to its present name in April of 2008.[1]
강진 삼인리 비자나무는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삼인리에 있는 비자나무이다.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9호로 지정되어 있다. 원래 명칭은 ‘병영면의 비자나무’였으나, 2008년 4월 현재 이름으로 바뀌었다.[1]
First, in 1417 the people had cut down all the trees that were potentially useful in order to build the headquarters of the lieutenant general, but the tree in question was too small at that time and was slightly bent. For this reason it is believed that they left it, since it was considered to be inappropriate to be a good architectural lumber. Furthermore, the second reason is that since this tree's fruits were the only material that was known to cure parasitic infections, it is said that the people around the area protected and cared for the tree.
비자나무는 우리나라의 내장산 이남과 일본에서 자란다. 나무의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되며, 열매는 구충제 및 변비 치료제나 기름을 짜는데 쓰인다. 강진 삼인리의 비자나무는 나이가 약 5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11.5m, 가슴높이 둘레 5.8m의 크기이다. 지상 1.5m 부근에서 커다란 가지가 넷으로 갈라졌다. 이 나무가 500여 년 동안이나 벌채를 피해 자랄 수 있었던 것에 대해서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첫째는 태종 17년(1417)에 이 곳에 전라병마절도사영을 설치하기 위해 주변의 쓸만한 나무는 모조리 베었으나, 당시 이 나무는 키가 작고 휘어서 건축용 목재로 부적당하였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살아남게 되었으리라는 견해와, 둘째는 당시 이 나무의 열매는 기생충을 구제하는 유일한 약이었기 때문에 이 곳 사람들의 보호를 받아왔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The people from the town considered this tree as the guardian of the town, because of which they celebrate the 15th of January, going around the tree and praying for peace, while it is also served as a refuge from the heat in the summer. As it is quite understandable, the Sam In-li torreya nucifera has lived through many years by the townspeople's care and interest, bearing a significan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for which it is enlisted and protected as National Heritage.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여겨 매년 음력 1월 15일에 나무 주위를 돌면서 마을의 평안을 빌고 있으며, 한여름에는 더위를 식혀 주는 피서처가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삼인리의 비자나무는 오랜 세월동안 마을 사람들의 관심과 보살핌 속에 살아온 역사적·문화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Other references
참고 도서
Kang Jin, Sam In-li Torreya Nucifera (Coniferous Tree)
강진 삼인리 비자나무
Ediket is a global freelancing platform where skilled English writing experts remotely provide services to improve English writing styles and content such as proofreading, copy editing, and writing consulting.
에디켓(Ediket)은 (주)에디켓이 만든 원어민 영문첨삭 서비스이다.[1] 전세계의 검증된 원어민 에디터들은 유학, 취업, 연구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영어 문서를 작성해야 하는 유학생, 취업준비생, 대학원생들에게 영문교정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에 신속하게 제공한다.[2]
Ediket Official Website Ediket Twitter Ediket Youtube Channel Ediket LinkedIn Page
에디켓 웹사이트 에디켓 네이버 블로그 에디켓 페이스북 페이지 - 공식(한국) 에디켓 페이스북 페이지 - 팀소개 에디켓 유투브 채널(전세계) 에디켓 트위터(전세계) 에디켓 링크드인(전세계)
Ediket
에디켓
Yoon Bok-Hee (윤복희, 尹福姬, March 9 1946 - ) is a Korean singer, musical actress, and songwriter.
윤복희(尹福姬, 1946년 3월 9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작사가, 작곡가, 영화배우, 영화 기획가, 영화음악감독, 뮤지컬 배우이다.
Template:KS X 1001 Hangul
KS X 1001 한글 부분 표
Television appearances
방송 출연
Giant Pink Native name 박윤하 Birth name Baek Yun-Ha Born April 23, 1991 South Korea Genres Rap, hip hop Years active 2015-present Labels Mystic Entertainment Associated acts Miryo
자이언트핑크 기본 정보 본명 박윤하 출생 1991년 4월 23일(1991-04-23) (25세) 국적 대한민국 직업 래퍼 활동 시기 2015년 - 현재 소속사 미스틱 엔터테인먼트
Baek Yun-Ha (b. April 23, 1991), better known by her stage name Giant Pink (자이언트핑크), is a South Korean rapper.
박윤하(1991년 4월 23일 ~ )은 예명 자이언트핑크(Giantpink)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래퍼이다.
She was the winner of hip-hop competition show Unpretty Rapstar 3.
2016년 《언프리티 랩스타 3》에 참가하여 우승하였다.
Show Me The Money 5 (2016) Unpretty Rapstar 3 (2016)
《Show Me The Money 5》 (2016) - 참가자 《언프리티 랩스타 3》 (2016) - 참가자
가위 바위 보 (Rock Scissors Paper), with Miryo (2016)
《가위 바위 보》 (with 미료) (2016)
Seung-Goo Lee (李承九, February 1, 1959 ~) is a professor in Korea and currently teaches systematic theology at the Hapdong Graduate School of Theology. He was select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holars in the field of Bible and theology in 2011. He has been the president of the Korean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since 2020.
이승구(Seung-Goo Lee, 李承九, 1959년 2월 1일 ~ )는 대한민국의 교수이며 현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1]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He found the Korean Presbyterian Theological Society, the Korean Biblical Theological Society, the Korean kierkegaard Society, and the Peter Paul Johannes Beyerhaus Society. He has published many books and translations. He interpreted lectures by many foreign scholars, and gave several presentations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2011년 성경과 신학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권위자로 선정되었으며[2] 호는 성암(聖岩)이다.
He studied Chongshin University,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B.A.),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Ethics Education, M. Ed.) Hapdong Theological Graduate University (M. Div.), University of St. Andrews (M. Phil., Ph.D). He had Research Fellow in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 (1990-1992).
2020년 부터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한국장로교신학회, 한국성경신학회, 한국키에르케고어학회, 그리고 피터 바이어하우스학회 창립을 주도하였다. 많은 저서와 번역서를 출판하였으며 외국의 여러학자들의 강의를 통역하였고, 국제 학술대회에서 여러차례 주제발표를 하였다.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Westminst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1992.1-1999.2.)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of Theology (1999.3-2009.2)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Hapdong Graduate School of Theology (2009,3-present) Visiting Scholar, Calvin College, Calvin Institute (Summer 2000) Visiting Scholar, Faculty of Theology,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fall 2006) president of the Korean Evangelical Systematic Theology Society (2000-2002), editor-in-chief of the Research Systematic Theology (2009) Auditor of the Korean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2004- 2006), Editor-in-Chief (2006) Secretary of the Korean Bible Theological Society (1997-present) General Secretary of the Korean Society for Reformation (2004-2006), Director of General Affairs (2008-2012) Secretary of the Korean Presbyterian Theological Society (2004-2006), Secretary (2008-present), Editor-in-Chief of Presbyterian Church and Theology (2009)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of Kierkego (2005) Chairman of Education Committee, Christian Research Institute (2003-2005), Research Fellow (2001-present) Chairman of the Executive Committee for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2011-prese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Asian Editor (2006-Present) Vice-President, Korean Reformation Society (2012-2018) Member of Korean Academy of Christian Studies Senior Vice President, Korean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2018-2020) President of the Korean Presbyterian Theological Society (2016-2018) Vice-President, Korean Reformation Society (2012-2018) President of the Korean Reformation Society (2018-2020) Director and executive secretary of the Buyer House Society (2018-)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1992.1-1999.2.)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1999.3-2009.2)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2009,3-현재) 칼빈 신학교(Calvin College) 칼빈 연구소 방문 교수(Visiting Scholar, 2000년 여름)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Vrije Universiteit) 신학부 방문 교수(Visiting Scholar, 2006년 가을 학기) 한국 복음주의 조직신학회 회장 역임 (2000-2002), 조직신학연구 편집위원장(2009) 한국복음주의 신학회 감사(2004- 2006), 편집위원장(2006) 한국성경신학회 총무(1997-현재) 한국개혁신학회 총무(2004- 2006), 총무이사(2008-2012) 한국장로교 신학회 총무(2004- 2006), 총무(2008-현재), 장로교회와 신학 편집위원장(2009) 한국키에르케고어 학회 회장(2005) 기독교 학문연구소 교육위원장(2003-2005), 연구위원(2001-현재) 종교개혁500주년기념사업회 실행위원장(2011-현재) International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Asian Editor (2006-Present) 한국개혁신학회 부회장(2012년-2018년) 한국기독교학술원 회원 한국복음주의 신학회 수석부회장(2018-2020년) 한국장로교신학회 회장(2016-2018년) 한국개혁신학회 부회장(2012년-2018년) 한국개혁신학회 회장(2018년-2020년) 바이어하우스학회 이사 및 실행총무(2018년 - )
Articles
최근 논문들
Dr. Seung-Goo Lee
이승구 박사, 2020년 10월 30일 파주
other links
같이 보기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Bong-ho Son Yung-Han Kim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한국장로교신학회 한국개혁신학회 종교개혁500주년기념일 요한칼빈탄생500주년기념사업회 한국성경신학회 한국의 신학자 목록 개혁신학자 안명준 김영한 (교수)
Fire
사건 경과
Causes and Backgrounds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