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i/ted2020-248.xml.gz
# ko/ted2020-248.xml.gz


(src)="1"> Hao nao ol nius we i kamaot long ol niuspepa mo narafala wei emi stiarem ol lukluk we yumi gat long saed long wol tedei ?
(trg)="1"> 우리가 세계를 보는 시점에 뉴스가 어떠한 영향을 끼칠까요 ?

(src)="2.1"> Hem nao wol we yumi luk luk long hem .
(src)="2.2"> Ol difren graon blong wol i luk olsem ia .
(trg)="2"> 여기에 지리적으로 바라 본 세계의 모습입니다 .

(src)="3"> Mo ol nius emi jenjem tin-ting blong ol man Amerika olsem ia nao
(trg)="3"> 그리고 이것은 뉴스가 미국인들에게 보여주는 세계의 모습입니다 .

(src)="4.1"> Map ia .
(src)="4.2"> Map ia i soem nam blong ol seken we olgeta nwetwok blong nius blong Amerika mo ol rigin nius oganaesesen i bin yusum blong talemaot stori long saed blong ol nius long everi kantri raon long wol , long Februari 2007-wan yia i pas nomo .
(trg)="4.1"> 이 지도는 - ( 박수 ) - 이 지도는 미국 방송망과 케이블 뉴스 기관들이 뉴스에 할당한 시간을 국가별로 보여준 지도입니다 .
(trg)="4.2"> 2007 년 2 월 , 1 년 전의 것들입니다 .

(src)="5"> Nao long manis ia nao Not Korea i bin agri blong pispisim ol niuklia wok blong olgeta .
(trg)="5"> 자 , 이 달은 북한이 핵무기 시설들을 해체하기로 동의했었습니다 .

(src)="6"> Long Indonesia i gat wan bigfala wota i bin ron
(trg)="6"> 인도네시아에서는 대홍수가 있었습니다 .

(src)="7"> mo long Paris , IPCC i bin rilisim wan stadi we i talemaot wok blong ol man long saed long global woming .
(trg)="7"> 그리고 , 파리에서는 인류가 지구 온난화에 끼친 영향에 관한 IPCC ( 유엔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 )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

(src)="8"> U.S. nomo hemi bin risponsibol from 79 % long ful kavarej blong ol nius ia
(trg)="8"> 전체 뉴스 보도량의 79 % 를 미국이 차지했습니다 .

(src)="9"> mo taem we yumi tekemaot U.S. mo luk luk long narafala 21 % yumi luk plante long Iraq – hemia bigfala grin samting ia long wei – i nogat tumas narafala samting
(trg)="9"> 그리고 미국을 제외한 21 % 를 살펴보면 , 이라크가 많이 보이죠 - 저기 커다란 초록색 부위 - 그리고 그 외엔 별로 없습니다 .

(src)="10"> Tugeta kavarej blong Rasia , Jaena mo India i kasem 1 % nomo .
(trg)="10"> 예를 들어 , 러시아 , 중국과 인도의 합친 보도량은 겨우 1 % 였습니다 .

(src)="11"> Taem we mifala i putum tugeta ol storian long nius ia mo karemaot wan storian nomo hemi soem olsem wanem nao wol hemi luk luk
(trg)="11"> 모든 보도 기사를 분석하고 단 하나의 기사를 제외했었을 때의 세계의 모습입니다 .

(src)="12.1"> Wanem nao storian ia ?
(src)="12.2"> Hemi nius blong ded blong Anna Nicole Smith .
(trg)="12"> 그 기사는 무엇이었을까요 ? 안나 니콜 스미스의 죽음이었습니다 .

(src)="13.1"> Storian ia i bin go long everi kantri long wol be i no kasem Iraq nomo .
(src)="13.2"> Mo storian ia i risivim 10 taem bitem kavarej blong ripot blong IPCC .
(trg)="13"> 이 이야기는 이라크를 제외한 모든 기사보다 더 많은 분량을 차지했으며 , IPCC 보고서보다 10 배나 더 많은 많았습니다 .

(src)="14"> mo storian hemi koraon bageken ; olsem yumi save finis – i bin gat planti nius i go raon abaot woman ia Britney .
(trg)="14"> 그리고 이런 식의 순환은 계속됩니다 . 아시다시피 , 요즘에는 브리트니가 많이 눈에 띄입니다 .

(src)="15"> Be from wanem nao yumi no harem tumas nius long saed blong ol narafala kantri long wol ?
(trg)="15"> 그러면 왜 우리는 세계에 대해서 더 많이 못 듣고 있을까요 ?

(src)="16"> Wan stamba tingting hemi from se ol netwok blong nius oli bin katem haf namba blong ol ofis blong olgeta ovasi .
(trg)="16"> 하나의 이유는 뉴스 방송망들이 외국인 사무국의 숫자를 반으로 줄인 데에 있습니다 .

(src)="17"> I gat smol ofis blong nius blong ABC nomo i stap long Nairobi , New Delhi , mo Mumbai Be i nogat wan ofis blong nius long Afrika , India mo Saot Amerika - ol ples ia nao oli haos blong bitim tu billion man
(trg)="17"> 나이로비 , 뉴 델리와 몸바이의 ABC 조그만 1 인 사무실들 외에는 , 아프리카 , 인도나 남미에는 전혀 뉴스 사무국들이 없습니다 . 이곳들에 20 억 인구가 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

(src)="18"> Long tru laef , storian long saed blong woman ia Britney hemi jip nomo
(trg)="18"> 현실은 브리트니를 보도하는게 더 싸다는 것입니다 .

(src)="19.1"> mo taem i nogat tumas nius long saed blong ol narafala kantri hemi no gud .
(src)="19.2"> Taem yumi luk luk ol ples we ol man oli go blong kasem nius
(trg)="19"> 그리고 이런 세계적인 보도의 부족 현상은 사람들이 뉴스를 찾으러 어디로 가는지 봤을 때 더욱더 심각해집니다 .

(src)="20"> nius long TV blong netwok we i stap long wanwan kantri blong yumi -USA- hemi big wan moa be sori tumas ol storian ia i gat 12 % nomo i stap kavaremap intanasonal nius
(trg)="20"> 지방 텔레비젼 뉴스가 유난히 크게 차지하고 있고 보도량의 오직 12 % 만 국제적인 뉴스에 해당됩니다 .

(src)="21"> Be olsem wanem long saed blong intanet ?
(trg)="21"> 그러면 인터넷은 어떨까요 ?

(src)="22"> Ol popula websaet blong nius i nogat tumas nius long hem .
(trg)="22"> 제일 인기 있는 뉴스 사이트들도 그리 낫진 않습니다 .

(src)="23"> Long las yia , Pew mo Colombia J-School , olgeta oli bin luk luk long planti nuis storian , we i bitim 14,000 stori we i kamaot long fored blong google
(trg)="23"> 작년에 Pew 및 Colombia J-School이 구글 뉴스 첫 페이지에 뜨는 14,000 개의 뉴스건들을 분석했습니다 .

(src)="24"> mo olgeta ia tu i stap storian long ol semak nuis nomo we i bin kamaot finis
(trg)="24"> 그리고 , 사실 그 뉴스들은 같은 24 개의 뉴스를 전달했을 뿐입니다 .

(src)="25"> mo tu , stadi ia , i telemoat se ol nuis netwok blong US oli stap storian long saed blong ol narafala kantri mo ol storian ia oli semak long ol storian blong ol AP waea sevis mo reutas. mo olgeta ia i no tanem nius ia nating blong mekem sua se ol man oli save kasem evri samting long storian ia
(trg)="25"> 비슷하게도 ,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뉴스 보도자들의 국제 뉴스는 AP 밑 Reuters의 뉴스들을 재보도 한 것들이었고 , 보도의 연관성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집어넣지 않았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

(src)="26"> sapos yu putum tugeta olgeta samting ia , bae hemi save telemoat from wanem nao ol man we oli bin finisim Univesiti mo ol man Amerika we oli no skul gud oli no save plante abot wol bitim ol fren blong olgeta 20 yia i pas finis
(trg)="26"> 그래서 , 전체적으로 보면 , 이 모든 것들이 왜 오늘날의 대학 졸업생들과 덜 교육을 받은 미국인들이 20 년 전 사람들보다 세계에 관해 더 적게 알고 있다는 사실을 설명할지도 모릅니다 .

(src)="27"> mo sapos yu ting se hemi from se ol man Amerika i no gat tumas interes hemi no stret ting ting
(trg)="27"> 그 이유가 단순히 무관심이라고 생각하면 , 그건 옳지 않습니다 .

(src)="28"> i no long taem nating i pas , taem mifala i bin toktok long ol man Amerika we oli stap folem ol nius oltaem oli bin go antap long 50 %
(trg)="28"> 지난 몇 년동안 많은 시간을 국제 뉴스 시청에 할애한다는 미국인들이 50 %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

(src)="29"> Stret kwestin hemi : hemia stret luk luk long wol we yumi wantem blong ol man Amerika long wol tedei we i nogat gudfala koneksen oltaem .
(trg)="29"> 묻고 싶은 건 , 점점 가깝게 연결되고 있는 이 세상에서 , 이렇게 뒤틀어진 세상에 대한 관점이 과연 우리가 원하는 것일까요 ?

(src)="30"> Mi save se yumi save mekem i moa gud .
(trg)="30"> 전 우리가 더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src)="31.1"> Bae yumi save mekem o nogat ?
(src)="31.2"> Tank yu tumas .
(trg)="31"> 그리고 , 그렇지 않을 경우 결과를 감당할 수 있을까요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