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39Bt6wdBpRXD.xml.gz
# zam/39Bt6wdBpRXD.xml.gz


(src)="1"> 각하
(trg)="1"> Re gó ne vé

(src)="2"> UN 사무총장
(trg)="2"> Gó ko ne vé ONU

(src)="3"> 주의회장
(trg)="3"> Gó ko ne vé Asamblea General

(src)="4"> UN Women의 전무
(trg)="4"> Xha ko ne vé ONU Mujeres

(src)="5"> 그리고 귀한 손님들
(trg)="5"> Re ta men du tre

(src)="6"> 오늘 , 저희는 " HeForShe" 라는 새로운 캠페인을 시작하려 합니다
(trg)="6"> Nal lash no lo no gó " Ko de li mi xha got "

(src)="7"> 전 지금 여러분들의 도움이 필요해 이자리에 서있습니다 .
(trg)="7"> No , dedizh lo gó , li chenó no gó

(src)="8"> 저희는 성 불평등을 끝내길 원합니다 .
(trg)="8"> Lash no lus nó xha mud wï no re got

(src)="9"> 이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참여를 해야합니다 .
(trg)="9"> Par li no kona , li che re ta men lo xiu

(src)="10"> UN에서는 이러한 캠페인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것 입니다 .
(trg)="10"> Güis re ONUmtete kue

(src)="11"> 저희는 가능한한 최대한 많은 남성분들과 남자아이들에게 영향을 주어
(trg)="11"> Ko lash no nak te güin re mi ner re bien mie

(src)="12"> 변화를 옹호하는 자가 되길 원합니다 .
(trg)="12"> Nakin cé no kue .

(src)="13"> 그리고 단순히 말만 하는것이 아닙니다 .
(trg)="13"> No na lash no yan na lo dizh ta .

(src)="14"> 저희는 변화를 시도할 것이고 성 불평등이 실재한다는 것을 입증하길 원합니다 .
(trg)="14"> Lash cé kue .

(src)="15"> 저는 UN Women의 친선대사로 6개월 전에 임명되었습니다 .
(trg)="15"> Na nak " embajadora " na ONU Mujeres , xhop bé lin kue ,

(src)="16"> 그리고 제가 페미니즘에 대해서 발언을 더 많이 할수록 , 저는 더 깨달았습니다 .
(src)="17"> 여성의 권리를 위한 투쟁이
(src)="18"> 너무 자주 남성에 대한 혐오와 비슷한 의미가 되었습니다 .
(trg)="16"> Cé dedizh na kuan nak " feminismo " , nen ke kan dien re miy na xhen xha kuan nak ka .

(src)="19"> 제가 한 가지 확실히 아는 것은 ,
(src)="20"> 이러한 잘못된 생각은 멈춰야 한다는 것 입니다 .
(trg)="17"> Nen , ke na kue luzh ah .

(src)="21"> 공식적으로 페미니즘의 사전적 정의는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src)="22">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가져야한다는 신념을 의미합니다 .
(src)="23"> 가져야한다는 신념을 의미합니다 .
(trg)="18"> Feminismo nak rop na , mgotn ner mi nak na " igual " nakin tak lin reta .

(src)="24"> 이것은 정치적 , 경제적 , 그리고 사회적인
(trg)="19"> Kue nak ko lash no

(src)="25"> 성의 평등에 관한 이론입니다 .
(trg)="20"> lahs no ke no xhin .

(src)="26"> 저는 오래 전부터 성에 관한 억측을 품어 왔습니다 .
(trg)="21"> Mteten güin xha mud thus kue re men na´

(src)="27"> 제가 8살 때 , 저는 " Bossy " 라고 불려지는 것에 당황하였습니다 .
(src)="28"> 제가 단지 부모님들 위한 공연에서 감독을 한것 때문에 말입니다 .
(trg)="22"> Xhe genún xhont lit , re men ne lot lu mtal pó ne lasna talna ló reé ní lo xhunt nó

(src)="29"> 하지만 남자아이들은 그렇지 않았죠 .
(trg)="23"> Re biet na de lín tiy .

(src)="30"> 14살때 , 저는 미디어의 특정 요소들에 의해서 성 분류화 되기 시작하였고
(trg)="24"> Cé gun 14 lit , re xha ke ko kub kap nien .

(src)="31"> 15살때 , 제 여자친구들은 자신들이 좋아하는 스포츠 팀에서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
(trg)="25"> Cé gun 15 , re ta 'an bla re ko re xhin xha par kid sa

(src)="32"> 이유는 너무 근육질 처럼 보이기 싫다는 것이였습니다 .
(trg)="26"> Na last xha nies xha nie re mbí

(src)="33"> 18살때 , 제 이성친구들은 그들의 감정을 표현할 수 없었고
(trg)="27"> Cé gun 18 , re ta 'an mbí na xhon ta xha ...

(src)="34"> 전 제가 페미니스트 라고 결정했습니다 .
(trg)="28"> Xha men ke ná de´ yu chan mgol

(src)="35"> 그리고 이것이 저에게는 너무도 당연한 일인것 같았습니다 .
(trg)="29"> Xá ne´ niy

(src)="36"> 그렇지만 최근 저의 조사에 의하면
(src)="37"> 페미니즘 이라는 단어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는 단어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
(trg)="30"> Será dekuan ná ner mnen ke ko de lin na dó last re men na´

(src)="38"> 여성들은 페미니스트가 되기를 꺼려하고 있습니다 .
(trg)="31"> Re got na last ta xha gak xha " feministas "

(src)="39"> 분명히 , 저는 수많은 여성들 중에서
(src)="40"> 표현이 너무 강하고 , 매우 공격적이고 ,
(src)="41"> 고립적이며 , 남성을 싫어하고 , 심지어 매력이 없다고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
(trg)="32"> Nal , reés nien na kap , na nak dib mgol mbí ré mbí na do last ko na

(src)="42"> 왜 페미니스트 라는 단어가 이렇게 불편한 단어가 되었을까요 ?
(trg)="33"> ¿ Po´ ne ke xhian xha ?

(src)="43"> 전 영국인이고
(trg)="34"> Na nak " Británica "

(src)="44"> 제 이성 상대와 같은 급여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trg)="35"> No lash na kis xha na lit ta , mgot ner mbí

(src)="45"> 제 몸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있는 게 옳다고 생각하고
(trg)="36"> Na lash na güin kuan lin men dá

(src)="46"> 제 생각에는 ...
(src)="47"> - ( 박수 ) -
(trg)="37"> Na lash ... ( men de tes ya 'an )

(src)="48"> 제 생각에는 여성이 관여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trg)="38"> Na lash reta mgol te dizh , li

(src)="49"> 제 인생에 영향을 주는 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trg)="39"> Lo re xhin na yes , kuan li chees

(src)="50"> 사회적으로 , 전 남성과 같은 존중을 받는 게 옳다고 생각합니다
(trg)="40"> Na lash güis re no tes xha güis lo re mbí

(src)="51"> 그렇지만 애석하게도 , 세상의 단 한개의 나라도
(trg)="41"> Nal , mnén na xhon ni did yes isluo ko de li kue

(src)="52"> 여성이 이러한 권리를 누릴 수 있는곳이 없습니다 .
(trg)="42"> Yent yes ko güi chan re mgot

(src)="53"> 양성평들 이뤘다고 할 수있는 국가들이 이 세상에 아직 없습니다 .
(trg)="43"> Yent ni dib yes ko de lí ke re got ner re mbí guen xho

(src)="54"> 이러한 권리들은 ... 제가 생각하기에는 인권이고
(trg)="44"> Nakin kue nak par re ta nó , mgot ner mbí

(src)="55"> 전 운이 좋은 사람중 한명입니다 .
(trg)="45"> Na , besta xhon

(src)="56"> 저의 부모님은 제가 딸이라고 덜 예뻐하시지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
(trg)="46"> Re xhun ná mkelash re mtán nó re bel nó

(src)="57"> 제가 다닌 학교는 제가 여자라고 제한을 두지 않았습니다 .
(trg)="48"> Guan go ló

(src)="58"> 저의 스승들은 제가 언젠가 아이를 가질 것이기 때문에
(trg)="49"> Yent cho mne ke na xhien ná

(src)="59"> 더 나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trg)="50"> Xín dib güis kan dib bet .

(src)="60"> 이러한 영향을 준 분들이
(src)="61"> 바로 지금의 저를 만들어준 양성평등대사입니다 .
(trg)="51"> Re ko bezh re men re blí ko nak na nal

(src)="62"> 그들은 인지 못할 수도 있지만
(src)="63"> 그들이 진정 오늘날의 이 세상을 바꾸고 있는 페미니스트들 입니다
(trg)="52"> Ta men na mnet goóy re men re de xé isluo .

(src)="64"> 우리는 이러한 사람들을 더필요로 하고
(trg)="53"> Na kín li chen re en ko li esgab kue .

(src)="65"> 페미니스트라는 단어를 싫어한다면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src)="66"> 단어가 중요한게 아닙니다 . 단어 뒤에 숨겨진 포부와 발상이 중요한 것입니다
(trg)="54"> This na lo lats xha mub xhab dis re ko tak nak kuan liy

(src)="67"> 왜냐하면 모든 여성들이 제가 누리고 있는 권리를 받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trg)="55"> Re ta mgot na genún re kue

(src)="68"> 솔직히 통계학적으로 아주 적은수의 여성들이 이런 권리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trg)="56"> Lut xha tak liy

(src)="69"> 1997년에 힐러리 클린턴은 베이징에서 여성의 권리에 관한
(trg)="57"> Hillary Clinton dedizh li 199 let Beijing

(src)="70"> 유명한 연설을 한 적 있습니다
(trg)="58"> Niet kuan tak li re mgot

(src)="71"> 슬프게도 , 그녀가 변하기 원했던 많은 것들이 아직도 오늘날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trg)="59"> Nal , lut ko shab xha na de yak tiy nal

(src)="72"> 이 연설에서 저에게 와 닿는것은 30 퍼센트 미만의 청중들이
(trg)="60"> Ko güin nak ke

(src)="73"> 남성이었다는 것이였습니다
(trg)="61"> lut mbí gua ( 30 % )

(src)="74">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바꾸겠습니까 ? 세상의 절반만이 초대를 받거나
(src)="75"> 이러한 대화를 참여하고 싶어한다면요 .
(src)="76"> 남성여러분 !
(trg)="62"> Xha mud lash na xét isluo this na dunt re ta ná nakin kues na re men na kin kues na re mbí

(src)="77"> 저는 남성여러분에게 이 자리를 빌어서 정식으로 초청하고 싶습니다
(src)="78"> ( 박수 )
(trg)="63"> Ko nal , debes na gó ( men detees ya 'an )

(src)="79"> 양성평등은 남성분들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trg)="64"> Nú gó nakin li goy

(src)="80"> 전 제가 아이로서 필요로 하고
(src)="81"> 저의 어머니께서 필요로 하시는 저의 아버지의 역할이
(trg)="65"> Nal mnen ke ko li xhun ná na tag tiy

(src)="82"> 사회적으로 낮게 평가되는 것을 봤습니다
(trg)="66"> Cé lut na , li chen xhun na ner snan

(src)="83"> 정신지체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도움을 청하지 못하는 젊은 청년들을 봤습니다 .
(src)="84"> 자신들이 남성답지 않다고 평가 될까봐요
(src)="85"> 남성답지 않게 보일까봐 ....
(trg)="67"> Niet re miu diak yis yek re miu sieb nies xha nag xha " mbí "

(src)="86"> 솔직히 영국에서 20세에서 49세 사이 남성들을
(trg)="68"> Inglaterra ka dosh men gudt

(src)="87"> 제일 많은 죽음으로 몰아넣고 있는 것은 교통사고나 암 , 심장질환보다 더 높은 자살입니다 .
(trg)="69"> le ka xha gudxha , re mbí xho 20 ó 49 lit

(src)="88"> 저는 남성의 성공이라는 왜곡된 의식에 의해
(src)="89"> 남성들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봤습니다
(trg)="70"> Nien re mbí sieb sieb xha na niet xha nie mbí

(src)="90"> 남성들 또한 평등한 혜택을 받고 있지는 않습니다 .
(trg)="71"> Re mbí na li xhin na lit ta gak men

(src)="91"> 남성들이 성적 고정관념에 갇혀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지는 않지만
(src)="92"> 저에게는 그렇게 보입니다
(trg)="72"> Na dedizh ta re men yac na nali mtía thus

(src)="93"> 이런 성적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때 여성들을 위한 변화는
(src)="94">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겁니다
(trg)="73"> Xé cé kue , re got xha yú xha yak ah

(src)="95"> 남성들이 너무 공격적이지만 않다면
(src)="96"> 여성들이 강제적으로 순종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src)="97"> 남성들이 지배하는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여성들은 지배당하지 않아도 됩니다
(trg)="74"> Thir re mbí na gadt nayes xha nies xha como mbí re gót na kin li che yek na this re mbí nakin re mgot , re mgot besta yú mgot ner mbí nakin na lit ta yu rop xha nakin nak naye 's

(src)="100"> 이제 우리는 성을 2개의 다른 이상 보다는
(src)="101"> 하나의 스펙트럼으로 봐야합니다
(src)="102"> ( 박수 )
(trg)="75"> Nakin güin nalit ta nak ná nadta xhata ( men teés yan )

(src)="103"> 이제 서로가 아닌것으로 정의를 내리지 말고
(src)="104"> 우리가 누구인지로 정의를 내려야 합니다 . 이를 통해서 우리 모두가 좀 더 자유로워질 수 있고
(src)="105"> 그리고 이것이 HeForShe 의 목적입니다
(trg)="76"> This laan kue thes day nakin mteten yut nalí kue nak ¨ko le mbí lo mgot "

(src)="106"> 이건 자유에 대한 것입니다
(trg)="77"> Kue nak xha nalin yun

(src)="107"> 전 남성들이 이러한 역할을 맡아서
(trg)="78"> Lasna re mbí

(src)="108"> 그들의 딸들 , 자매들 , 그리고 어머니들이 편견에서 자유롭게 만들 뿐만 아니라
(trg)="79"> lash yú re xhiín xha mgot

(src)="109"> 동시에 그들의 아들 또한 인간적이고 부드러워질 수 있게 하기를 원합니다
(src)="110"> 그들이 버린 그 부분들을 다시 되찾는 것을 할수 있습니다 .
(src)="111">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 자신들도 더 진실해지고 스스로를 완성할 수 있게 되기를 원합니다 .
(trg)="80"> Nakin las xha re mbí tak gón nakin kuan xha gak xha men xha gak xha dib men mbí

(src)="112"> 이런생각이 들수 있습니다 . " 해리포터에 나온 이 여자아이는 누구야 ? "
(trg)="81"> Ser de lí xho sgab , mxá re bru " Harry Potter "

(src)="113"> ( 웃음 ) " UN에서 뭘 하는거지 ? "
(trg)="82"> ¿ kuan de bez xha ?

(src)="114"> 그리고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trg)="83"> Loo ONU ?

(src)="115"> 저도 똑같은 질문을 저에게 물어봤습니다
(trg)="84"> Na li sgab po né ne

(src)="116"> 제가 아는 것은 제가 이 문제에 대해서 고민을 한다는 것이고
(src)="117"> 또 이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는 것입니다
(trg)="85"> Na dú tre por ke mnen kap xho re mgot tre ner lasna cé niy

(src)="118"> 제가 목격한 것들과 저에게 이러한 기회가 주어졌다는 것에 대해
(trg)="86"> Manl neén kue

(src)="119"> 전 무언가를 말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들었습니다
(trg)="87"> Ner nakin mnen nakin lín dib ko xha cé né

(src)="120"> 정치인 Edmund Burke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trg)="88"> Edmund Burke xhab :

(src)="121"> " 악이 승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src)="122"> " 남성과 여성들이 아무것도 안하는 것이다 " 라고요
(trg)="89"> " This lazmen ko kap na´ güe nakin re men ko güem laá ?

(src)="123"> 전 이 연설에서 오는 긴장과 의문에서
(trg)="90"> Cé cieb ná

(src)="124"> 저 자신에게 확고하게 말했습니다
(trg)="91"> lín sgab

(src)="125"> " 내가 아니면 누가할까 ? "
(trg)="92"> ¿ This na lit nay ?
(trg)="93"> ¿ Cho liy ?

(src)="126"> " 지금이 아니면 언제할수 있을까 ? "
(trg)="94"> ¿ This nak nay nal queer lit niy ?

(src)="127"> 만약에 당신이 비슷한 의문을 갖고 있일때 기회가 당신에게 주어진다면
(trg)="95"> This na xheen gooy

(src)="128"> 이 말들이 도움되기를 바랍니다
(src)="129"> 왜냐하면 ...
(src)="130"> 현실에서 우리가 아무것도 안한다면 제가 75년후
(trg)="96"> Re dizh re tak li xhin lo gó this na lit niy nal , li che 75 lit na last na genún 100 lit ner nien ke re got ner re mbí na lit ta gash loós cé de ques x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