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0BCXM0UAYJaR.xml.gz
# sq/0BCXM0UAYJaR.xml.gz


(src)="1"> 이제 경제학의 세상으로 여행을 떠나면서
(src)="2"> 가장 유명한 한 경제학자의 말을 인용하고자 합니다
(src)="3"> 바로 스코틀랜드 철학자 , 아담 스미스( Adam Smith) 입니다
(trg)="1"> Para se te fillojme udhetimin tone ne boten e ekonomise , mendova te filloj me nje citim te nje prej ekonomisteve me te famshem te te gjitha koherave , filozofi skocez Adam Smith .

(src)="4"> 그는 최초의 진정한 경제학자라 할 수 있습니다
(src)="5">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경제를 연구한 최초의 학자란 뜻이죠
(trg)="2"> Ai eshte pak a shume i pari ekonomist qe shihte ekonomine sic e shohim ne ditet e sotme .

(src)="6"> 이것은 그의 저서 " 국부론" 의 한 부분입니다
(src)="7"> 1776년도에 발간되었는데 이는 우연히도
(trg)="3"> Kjo eshte nga libri i tij " Pasuria e Kombeve " , publikuar ne 1776 , rastesisht , i njejti vit me

(src)="8"> 미국독립선언문이 발표된 해입니다 . 이건 가장 유명한 대목인데요 ,
(trg)="4"> Deklaraten Amerikane te Pavaresise , dhe eshte nje nga pjeset me te famshme .

(src)="9"> 개별 주체는 일반적으로 공익을 도모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src)="10"> 자신이 공익 촉진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도 모른다
(trg)="5"> Cdo person , duke qene aktor ekonomik , nuk ka per qellim te promovoje interesin publik , por edhe nuk e di se sa po e promovon ne te njejten kohe .

(src)="11"> 그저 자신이 만들어낸 생산물이 최대의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src)="12">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개별 주체는
(src)="13"> 오로지 자신의 이득만을 추구한다
(trg)="6"> Duke marre pjese ne ate industri , ne menyre qe industria te kete prodhimtarine me te madhe , ai ka per qellim perfitimin e tij personal

(src)="14"> ' 오로지 자신의 이득만을 추구한다´
(trg)="7"> " Ai ka per qellim perfitimin e tij personal " .

(src)="15"> 이때 그리고 다른 많은 경우 해당 주체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src)="16"> 이끌리어 원래 자신의 계획이 아닌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trg)="8"> Dhe ai drejtohet ne kete gje , si ne shume raste te tjera , nga nje dore e padukshme qe te promovoje dicka te cilen nuk e kishte si qellim .

(src)="17"> 이 " 보이지 않는 손" 이라는 말은 아주 유명합니다
(trg)="9"> Ky term " dora e padukshme " eshte i famshem

(src)="18"> 보이지 않는 손에 이끌려 원래 자신의 계획이 아닌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trg)="10"> I drejtuar nga nje dore e padukshme qe te promovoje dicka te cilen nuk e kishte si qellim .

(src)="19"> 이점에서 아담 스미스는 개별 주체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행동할 때
(src)="20"> 종종 이것들이 함쳐져 자신들이 의도치 않은 결과로 이어진다고 말합니다
(trg)="11"> Ai thote , shiko , kur pjesemarresit individual ekonomik marrin vendime ne interesin personal te tyre , ajo gje shpesh ne agregat , sjell gjera qe secili person nuk e kishte marre parasysh .

(src)="21"> 덧붙혀 그는 이런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사회적 차원에서
(trg)="12"> Me poshte thote :
(trg)="13"> Po ashtu nuk eshte gjeja me e keqe per shoqerine qe nuk ishte e perfshire ne kete gje .

(src)="23"> 그러니까 보이지 않는 손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trg)="14"> Keshtu qe nuk eshte detyrimisht dicka e keqe .

(src)="24"> 왜냐하면 개별 주체들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오히려
(src)="25"> 원래 의도했던 것 보다 사회의 이익에 더 보탬을 주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입니다
(trg)="15"> Duke ndjekur qellimet vetjake , cdo person shpesh promovon interesat e shoqerise ne menyre me efektive se sa kur ai e ka per qelllim kete gje .

(src)="26"> 그래서 아담 스미스의 이 주장이 매우 강력한 힘을 갖는 것입니다
(trg)="16"> Keshtu qe kjo eshte me te vertete nje thenie e rendesishme .

(src)="27"> 이게 바로 자본주의의 핵심인 것이죠
(trg)="17"> Eshte ne qender te kapitalizmit .

(src)="28"> 바로 이 때문에 제가 국부론이 미국독립선언문과
(src)="29"> 같은 해에 출판됐다라는 점을 굳이 지적한 것입니다
(src)="30"> 왜냐하면 미국 그러니까 미국의 건국 조상들이
(trg)="18"> Prandaj e theksoj qe eshte publikuar ne te njejtin vit me Deklaraten Amerikane te Pavaresise , sepse Amerika , baballaret e shtetit amerikan , shkruajten Deklaraten e Pavaresise , Kushtetuten qe pershkruan tamam c' do te thote te jesh nje shtet demokratik , cilat jane te drejtat e qytetareve .

(src)="34"> 미국은 그 전체적인 역사적 경험을 봤을 때
(src)="35"> 보이지 않는 손과 같은 자본주의 근본 이념을 통해
(src)="36"> 아담 스미스로부터 최소한 영향은 받았기 때문입니다
(trg)="19"> Por Shtetet e Bashkuara , jane influencuar nga punimet e Adam Smith , nga keto ide qendrore te kapitalizmit

(src)="37"> 바로 이 두 가지 사건이 동시에 발생한 거죠
(trg)="20"> Dhe te dyja qelluan rreth te njejtes kohe .

(src)="38"> 하지만 아담 스미스의 생각이 항상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trg)="21"> Por kjo ide nuk eshte gjithmone kaq intuitive .

(src)="39"> 개별 주체가 자신의 이득만을 추구하는 것이 오히려 자신들이
(src)="40"> 의도했던 것 보다 사회 전반에 더 큰 이익을 줄 수는 있습니다
(trg)="22"> Aktoret individual , duke ndjekur qellimet e tyre personale , mund te jene duke bere me shume per shoqerine sesa po te kishin provuar te promovonin mireqenien e shoqerise .

(src)="41"> 하지만 저는 아담 스미스가 개인의 이익 추구가 늘 옳다고 주장한다고 생각지 않으며
(src)="42"> 사람들이 자신들의 행동이 합쳐져서 사회에 줄 영향에
(src)="43"> 대해 신경쓰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주장하는 것도 아니라 생각합니다
(trg)="23"> Nuk besoj qe Adam Smith do te thoshte qe kjo eshte gjithmone gje e mire per dike te veproje ne menyre egoiste , ose qe nuk eshte asnjehere mire qe njerezit te mendojne per pasojat e veprimeve te tyre per shoqerine si e tere , por ai thote qe shpesh ... shpesh , ky veprim egoist mund te sjelle te miren e pergjitshme .

(src)="45"> 즉 이기심에 비롯된 행동이 더 큰 선과 , 더 큰 혁신
(trg)="24"> Mund te sjelle me shume inovacion .

(src)="46"> 더 좋은 투자 , 더 높은 생산성 , 더 많은 부 , 그러니까 사회 전체의
(trg)="25"> Mund te sjelle me shume investime .
(trg)="26"> Mund te sjelle produktivitet me te mire .

(src)="47"> 파이를 더 크게 하는 경우가 " 빈번하다" 고 주장하는 것이죠
(trg)="27"> Mund te sjelle me shume pasuri , me shume per gjithsecilin .

(src)="48"> 아담 스미스가 보이지 않는 손을 언급할 때 여기에는
(src)="49"> 미시경제적 내용과 거시경제적 내용이 섞여 있습니다
(trg)="28"> Ne ditet e sotme ne Ekonomi shpesh ... kur behen deklarata te ndryshme , ato jane nje perzierje theniesh mikroekonomie dhe makroekonomie .

(src)="50"> 미시적 내용은 사람들 즉 개별 주체들이 자신만의 이윤을 추구한다는 것이고
(trg)="29"> MIkro eshte rreth njerezve , aktoreve individual marrin vendime ne interesin personal te tyre

(src)="51"> 이것이 사회나 국가 전체로 득이 된다는 것이 거시경제 측면의 주장이죠
(trg)="30"> Makro eshte cfare mund te ishte mire per ekonomine ose kombin ne teresi .

(src)="52"> 그래서 근대 경제 학자들이 두 학파 또는 두 영역으로 나뉘는데
(trg)="31"> Sot ekonomistet ndahen ne dy shkolla te ndryshme , ose ne dy nen- ndarje :

(src)="53"> 첫째 개별 주체를 연구하는 미시경제학이 있는데 이는
(trg)="32"> Mikroekonomia , qe studion aktoret individual .

(src)="54"> 기업이나 사람 , 가게 등을 다룹니다
(trg)="33"> Mikroekonomia ... dhe ato aktore mund te jene firma , persona ose familje .

(src)="55"> 한편 거시경제학은 경제의 총합을 연구 대상으로 하죠
(trg)="34"> Me pas vjen dhe Makroekonomia , qe studion ekonomine ne agregat .

(src)="56"> 단어만 봐도 뜻을 알 수 있죠 ?
(trg)="35"> Makroekonomia .
(trg)="36"> Kuptohet nga vete fjala .

(src)="57"> 미시라는 접두어는 작은 것 , 한편 거시란 이 보다 넓고
(trg)="37"> Mikro -- prefixi do te thote gjera te vogla .
(trg)="38"> Makro i referohet gjerave madhore .

(src)="58"> 큰 것을 의미합니다
(trg)="39"> Figures madhore .

(src)="59"> 즉 미시경제는 본질적으로 경제 주체들의 의사 결정을 다룹니다 .
(src)="60"> 다시 말해 경제 주체들이 희소 자원 배분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trg)="40"> Keshtu qe , mikroekonomia tregon se si aktoret marrin vendime ose mund te thuash ´alokimet ' , alokimet .. vendimet ose alokimet .

(src)="61"> 다루는 것이 미시경제학의 핵심입니다 .
(src)="62"> 경제에 대해 말할 때마다
(src)="63"> 희소 자원이란 말을 많이 듣게 되죠
(trg)="41"> Alokimi ... i resurveve te pakta .

(src)="64"> 희속 자원이란 양이 한정되어 있는 자원을 말합니다
(trg)="43"> Nje burim i paket eshte ai qe nuk eshte i pafund .

(src)="65"> 예를 들어 사랑은 희서자원이 아니죠 . 그 양이 무한하니까 .
(trg)="44"> Per shembull , dashuria mund te mos jete burim i paket .
(trg)="45"> Mund te kesh nje dashuri te pafundme .

(src)="66"> 희소 자원은 음식 , 물 , 돈 , 시간 , 노동 등과 같은 것이죠
(trg)="46"> Por nje burim qe eshte i paket si ushqimi , uji , parate , koha ose puna .

(src)="67"> 이런 것들이 그 양이 유한하죠 . 그래서 미시경제는 사람들이 이런
(src)="68"> 희소자원들을 어디에다 사용할 지를 어떻게 결정하는지를 다루며
(trg)="48"> Keshtu mikroekonomia tregon si njerezit marrin vendime si ti shperndajne keto burime te pakta .

(src)="69"> 이러한 결정이 물가와 시장 그리고 그외 것들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다룹니다
(trg)="49"> Dhe se si ajo ndikon ne cmimet e produkteve dhe ne tregje .

(src)="70"> 거시경제는 경제 전체에 일어나는 일을 연구 대상으로 합니다
(trg)="50"> Makroekonomia merret me studimin e asaj qe ndodh ne ekonomine si e tere .

(src)="71"> 즉 수백만 개별 주체들의 활동이 총합된 경제 전체를 다룹니다
(trg)="51"> Keshtu qe , ne ´agregat , cfare ndodh ne agregat ne ekonomi , nga miliona persona individual .

(src)="72"> 총합경제 . 경제 주체는 수백만에 달하죠 .
(trg)="52"> Ekonomia agregate .
(trg)="53"> Ne tani kemi miliona persona .

(src)="73"> 그리고 거시경제는 정책 관련 이슈들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trg)="54"> Ajo fokusohet ne pyetje qe kane te bejne me politika te ndryshme .

(src)="74"> 예를 들어 조세정책 결정을 위해 감세나 증세가 미치는 영향을 먼저 연구하게 됩니다
(trg)="55"> Si per shembul , duhen rritur apo ulur taksat .
(trg)="56"> Cfare do te ndodhe kur rriten ose ulen taksat .

(src)="75"> 규제 정책도 이에 해당하겠죠 . 규제 강화 또는 완화가 전체 생산성에 미치는
(trg)="57"> Duhet te nderhysh me shume ne ekonomi apo me pak .
(trg)="58"> Dhe si ndikon ajo ne produktivitet kur ben kete gje .

(src)="76"> 영향을 가늠해볼 필요가 있죠 . 이런 것들은 수직 하향 효과를 갖는 정책 이슈들입니다
(trg)="59"> Keto jane politika , politika nga lart- poshte .

(src)="77"> 미시와 거시 경제 두 영역 모두에서 특히 근대적 의미에서
(src)="78"> 경제학을 견고하게 하고 수리화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trg)="60"> Ne makro dhe mikro ne kohet moderne , ka nje tendence qe te shnderrohen ne shkenca rigoroze matematikore .

(src)="79"> 즉 부연하자면 먼저 몇 가지 철학적 사상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게 됩니다
(src)="80"> 즉 척학적 사상이란 아담 스미스와 같은 사람이 품게 되는 논리적 아이디어 같은 것을 뜻합니다
(trg)="61"> Por sidoqofte mund te fillohet me disa ide , disa ide filozofike , per te thene dicka si Adam Smith .

(src)="81"> 그러니까 사람들의 사고 방식과 의사 결정 방식에 대해 가장 기반이 되는 사상을
(trg)="62"> Keshtu ekzistojne disa ide bazike, se si njerezit mendojne , si marrin vendime .

(src)="82"> 설정합니다 . 인간의 의사결정 사상이라 부를 수 있겠죠
(src)="83"> 미시경제라면 의사결정 사상이 되는 것이죠 .
(trg)="63"> Filozofi , ´filozofi´ njerezish ne vendimmarrje , ne sensin e mikroekonomise -- ' vendim- marrja ' .

(src)="84"> 그런 다음 이 사상에 대해 몇 가지 가정을 합니다
(trg)="64"> Me pas behen disa supozime mbi kete gje .

(src)="85"> 다시 말해 그 사상을 단순화시킵니다 . 직접 써보죠 . 단순화 한다 .
(trg)="65"> Ose mund ta thjeshtezosh .

(src)="86"> 정말로 단순화 하는거에요 . 예를 들어 " 사람들은 이성적이다" 라거나
(trg)="66"> Thjeshtezimi eshte ne sensin kur thuhet " te gjithe njerezit jane racional " ,

(src)="87"> " 모든 사람은 이기적으로 행동하거나 자신의 이득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 라고
(src)="88"> 가정할 수 있죠 . 실제로는 그렇진 않죠 . 인간의 행동에는 여러 동기가 작용하죠 .
(trg)="67"> " te gjithe njerezit veprojne ne interesin e tyre persona , ose njerezit maksimizojne perfitimet e tyre personale " , qe nuk eshte e vertete - njerezit motivohen nga shume gjera .

(src)="89"> 하지만 이를 단순화 시키면 수학적으로 다루는 것이 가능해져요
(trg)="68"> Gjerat thjeshtezohen , qe te mundesohet studimi matematik i ekonomise .

(src)="90"> 그래서 단순화시키는 것이고 그래야 수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trg)="69"> Simplifikohen qe te zgjidhen matematikisht .

(src)="91"> 따라선 이런 단순화는 연구자의 생각을 명확하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trg)="70"> Kjo ka vlere per te qartesuar menyren e mendimit .

(src)="92"> 왜냐하면 가정에 기초해서 증명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trg)="71"> Keshtu mund te vertetohen gjerat bazuar ne supozime .

(src)="93"> 수학적으로 표현 가능하기에 도표나 도형을 이용해서 시각화가 가능하고
(src)="94"> 시장에서 실제 무슨일이 일어날지를 생각해볼 수 있게 됩니다
(trg)="72"> Keshtu mund te fillosh te vizualizosh gjerat me tabela dhe grafike dhe te mendosh cfare ndodh ne te vertete ne tregje .

(src)="95"> 따라서 이러한 수학적 체계적 사고를 갖는 것이 매우 긴요합니다
(trg)="73"> Keshtu qe ka shume vlere te kesh kete menyre te menduari matematikore .

(src)="96"> 하지만 이런 방식이 다소 위험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src)="97"> 이렇게 상당한 수준으로 단순화할 경우 자칫 수학적 분석을 통해 결론에 대해
(trg)="74"> Por ne te njejten kohe eshte e rrezikshme sepse behen . keto thjeshtezime te medha , dhe disa here matematika mund te sjelle konkluzione te forta .

(src)="98"> 엄청난 확신을 갖게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가설에 바탕을 뒀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src)="99"> 사실로 증명된 것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 마치 상대성이론을 증명해낸 것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말이죠
(src)="100"> 하지만 증명에 사용된 가설이 잘못되었거나 과도하게 단순화됐을 수 있고
(trg)="75"> Konkluzione , qe mund te ndihesh shume i sigurt sepse duket sikur e ke vertetuar ne te njejten menyre sic mund te vertetohet relativiteti , por ai bazohej ne disa supozime , qe ose ishin gabim , ose e thjeshtezonin problemin me shume sec duhet , ose mund te jene te rendesishme per kontekstin ne te cilin je .

(src)="102"> 따라서 결론이 나왔을 때 분별력있게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src)="103"> 결론들이 단순화를 위한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
(trg)="76"> Keshtu qe eshte shume e rendesishme qe gjithcka te merret me nje sens mosbesimi , per te kujtuar qe gjithcka bazohet ne supozime thjeshtezuese .

(src)="104"> 거시경제는 아마도 이러한 위험성이 더욱 클 것이다 . 왜냐하면
(trg)="77"> Dhe markoekonomia ndoshta vuan me shume nga kjo gje .

(src)="105"> 미시경제 차원에서 인간의 뇌라는 고도로 복잡한 대상을 분석한 다음
(src)="106"> 즉 개개인이 어떻게 행동하고 서로 상호 작용하는지를 분석한 다음
(src)="107"> 이를 총합하는 것이 거시경제인데 복잡함이 상상을 초월하겠죠 .
(trg)="78"> Ne mikroekonomi merren disa gjera te komplikuara si mendja njerezore , si njerezit veprojne dhe reagojne ndaj njeri tjetrit dhe me pas agregohen keto vendime per miliona njerez , keshtu qe eshte shume e komplikuar .

(src)="108"> 무한히 복잡한 수백만의 사람들이 있고 또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합니다
(trg)="79"> Ekzistojne miliona njerez te komplikuar qe bashkeveprojne me njeri tjeterin .

(src)="109"> 그러니 정말 복잡하죠 . 수백만 건의 상호작용이 존재하는데
(trg)="80"> Keshtu qe , eshte shume e komplikuar .

(src)="110"> 이들은 원천적으로 예측 불가능한데 , 그럼에도 이것들을 가지고 가정을
(src)="111"> 만들고 그런 다음 그 가정으로 계산을 수행하는 것이죠 .
(src)="112"> 그 결과 결론에 도달하거나 예측을 내놓게 되는 것입니다 .
(trg)="81"> Shume miliona bashkveprime ne esence bashkeveprime te paparashikueshem , dhe me vone behen supozime , behen supozime dhe me ndihmen e matematikes mund te behen disa konkluzione qe ndihmojne per disa parashikime .

(src)="113"> 다시 강조하지만 이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수학적 가설과 결론이 담긴
(trg)="82"> Perseri , kjo eshte shume e rendesishme .

(src)="114"> 이런 수학적 모델을 만다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일입니다
(src)="115"> 하지만 이렇게 도출된 결론은 분별력 있게 바라봐야 합니다 .
(trg)="83"> Eshte shume e vlefshme te besh keto modele matematikore , me keto supozime matematikore per keto konkluzione matematikore , por gjithmone duhet te merren me nje sens dyshimi .

(src)="116"> 분별력을 갖춰야 합니다 . 그래야 언제든지 올바른 직관을 따를 수 있습니다 .
(trg)="84"> Me kete sens dyshimi duhet gjithmone te jesh i fokusuar ne intuiten e gjerave .

(src)="117"> 이것이야 말로 경제학 공부에서 얻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
(trg)="85"> Dhe kjo eshte pikerisht gjeja me e rendesishme per te marre nga nje kurs ekonomie .

(src)="118"> 그러면 올바른 추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src)="119"> 어쩌면 수학적 계산을 하지 않고서도 말입니다 .
(trg)="86"> Ne menyre qe te arsyetosh se cfare ka mundesi te ndodhe , ndoshta dhe pa matematike .

(src)="120"> 끝으로 두가지 말을 인용하도록 하겠습니다 . 좀 내용이 웃긴데요
(trg)="87"> Do e mbyll me dy citime .

(src)="121"> 그래도 기억해두면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src)="122"> 특히 수리경제를 깊이있게 다루고자 하는 사람에게 그럴 것입니다 .
(trg)="88"> Dhe keto citime jane paksa me humor . por jane gjera te rendesishme per te pasur parasysh , ne menyre te vecante kur i futesh thelle anes matematikore te ekonomise .

(src)="123"> 여기 알프레드 노프트라는 분의 말을 보죠 .
(src)="124"> 1900년대 출판인이 었던 그는
(trg)="89"> Ky eshte nje citima nga Alfred Knopf , qe ishte editor ne vitet 1900 .

(src)="125"> " 경제학자란 명백한 것을 이해할 수 없는 용어로 설명하는 사람이다" 라고 했습니다 .
(trg)="90"> " Nje ekonomist eshte nje njeri qe thote gjerat e dukshme ne terma te pakuptueshme " .

(src)="126"> 제 생각에 이해할 수 없는 용어는 경제학에서 나오는 수학적 내용을
(src)="127"> 뜻하는 것 같은데요 바라건데 저는 우리가 이런 수학적 내용을
(src)="128">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수 있으면 합니다 .
(trg)="91"> Dhe besoj qe kur flet per gjerat e pakuptueshme e ka fjalen per pjesen matematike qe shihet ne ekonomi , dhe shpresoj qe kete pjese ta bejme sa me te kuptueshme

(src)="129"> 경제학에서 수학을 사용하는 것은 그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
(trg)="92"> Do te shihni qe kjo gje ka vlere .

(src)="130"> 하지만 노프트의 말은 매우 중요합니다 .
(trg)="93"> Por kjo eshte nje thenie shume e rendesishme per tu bere .

(src)="131"> 상식선에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경우가 적잖이 있죠
(trg)="94"> Shpesh here , flitet per gjera te thjeshta

(src)="132"> 명백한 것을 사용해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trg)="95"> Gjera qe jane evidente ..

(src)="133"> 우리가 꼭 명심해야 할 것은 우리가 사용하는 수학 계산 내용에 대해
(src)="134"> 직관적인 이해를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
(src)="135"> 즉 과도하게 단순화됐거나 잘못된 가설 때문에 수학 계산이 잘못된 방향으로
(trg)="96"> Dhe eshte shume e rendesishme qe gjithmone te kihet parasysh kjo gje , gjithmone te keni intuiten per ate qe po ndodh ne matematike , ose ta dini nese matematika po ju con ne nje rruge te habitshme bazuar ne supozime .

(src)="137"> 그리고 여기 로렌스 제이 피터의 말을 보도록 하죠 .
(trg)="97"> E dyta eshte thenia nga Lawrence J .

(src)="138"> ' 피터의 원리 '로 유명하신 분인데 남가주대 교수이십니다 .
(trg)="98"> Peter , i famshem per Parimet e Peterit , profesor ne USC .

(src)="139"> " 경제학자는 자신이 어제 예측한 것이 왜 오늘 일어나지
(src)="140"> 않는지 내일이 되서야 아는 전문가이다 "
(trg)="99"> " Nje ekonomist eshte nje ekspert qe do dije neser pse gjerat qe parashikoi dje nuk ndodhen sot . "

(src)="141"> 이 말도 꼭 명심해둬야 할 것입니다 .
(src)="142"> 왜냐하면 다른 곳에서도 그렇지만 특히 거시경제 측면에서
(src)="143"> 경제 상황에 대해 항상 오만 가지 예측이 떠돕니다 .
(trg)="100"> Edhe njehere , e rendesishme te kihet parasysh , sidomos ne makro , sepse ne makro gjithmone ka parashikime per gjendjen e ekonomise : per ate qe duhet bere , sa do zgjase recesioni , sa do jete rritja ekonomike vitin e ardhshem , sa do jete inflacioni ... dhe shpesh behen gab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