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ame unfolds in 0 A.D. in exactly the same way as 'Age of Empires II'. That is, you start with a few villagers and a scouting unit, and your goal is to build a great powerful city full of new buildings and strong defences.
0 A.D.는 '에이지오브 킹 II'의 방식과 정확하게 같은 방식으로 게임을 전개합니다. 즉, 몇 명의 마을 사람들과 함께 시작되며 정탐부대를 가집니다, 당신의 목표는 새로운 건물과 강한 방어력이 가득한 거대하고 힘있는 도시를 세우는 것 입니다. 이를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져아하고, 동맹관계를 만들고, 적을 완패시켜야 합니다.


This will then become your base from where you must expand, build alliances and annihilate your opponents. To build your city, improve it, and build an army, you need resources.
당신의 도시를 세우고, 향상시키며, 군대를 형성하려면 자원이 필요합니다. 고기, 돌, 나무 그리고 금속은 당신의 마을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일을 시키면서 충분히 공급 받을 수 있습니다.
Everything has been customized with great care and attention to make each civilisation as historically accurate as possible. Although 0 A.D. started out as an 'Age of Empires II: The Age of Kings' clone, it soon evolved into a standalone game with its own graphics engine.
비록 0 A.D가 '에이지오브 엠파이어 II:에이지오브 킹'클론으로 시작되었어도, 자체 그래픽 엔진으로 일체형 게임으로 바로 진화되었습니다. 그리고 0 A.D.는 아주 시각적이며 현재 '에이지오브 엠파이어' 프랜차이즈의 세번째 분할에 가까워졌습니다.
0 A.D. is very strong visually, and gets much closer to the third instalment of the 'Age of Empires' franchise. 0 A.D. is an outstanding real time strategy game that is open source and free to play.
0 A.D.는 뛰어난 실시간 전략 게임인 오픈 소스로 무료 게임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더욱이, 일찍이 빠른 개발에도 불구하고, 많은 상업적인 타이털에 우수한 게임 전략을 제공합니다.
Meat, stone, wood, and metal are the main resources, and to make sure you always have some, you'll have to keep your villagers working around the clock. In 0 A.D., there are nine different civilizations to choose from, including the Greeks, Romans, Persians, and Britons. Each of these civilizations has its own buildings, strengths, and units.
당신의 도시를 세우고, 향상시키며, 군대를 형성하려면 자원이 필요합니다. 고기, 돌, 나무 그리고 금속은 당신의 마을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일을 시키면서 충분히 공급 받을 수 있습니다. 0 A.D.에서 그리스, 로마, 페르시아, 브리턴을 포함한 9개의 다양한 문명을 가질 수 있습니다. 각 자 자신만의 건물들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만의 군대를 형성할 수도 있습니다. 가능한 역사적으로 똑같은 문명을 만드시려면, 모든 것을 잘 관리하고 관심을 쏟아야합니다.
Although 0 A.D. began as a mod for Age of Empires II: The Age of Kings, it soon became a game in its own right with its own graphics engine. And it shows. 0 A.D. is more or less as visually appealing as the third installment of the Age of Empires franchise.
비록 0 A.D가 '에이지오브 엠파이어 II:에이지오브 킹'클론으로 시작되었어도, 자체 그래픽 엔진으로 일체형 게임으로 바로 진화되었습니다. 그리고 0 A.D.는 아주 시각적이며 현재 '에이지오브 엠파이어' 프랜차이즈의 세번째 분할에 가까워졌습니다.
The game unfolds in 0 A.D. in exactly the same way as 'Age of Empires II'. That is, you start with a few villagers and a scouting unit, and your goal is to build a great powerful city full of new buildings and strong defences.
0 A.D.는 '에이지오브 킹 II'의 방식과 정확하게 같은 방식으로 게임을 전개합니다. 즉, 몇 명의 마을 사람들과 함께 시작되며 정탐부대를 가집니다, 당신의 목표는 새로운 건물과 강한 방어력이 가득한 거대하고 힘있는 도시를 세우는 것 입니다. 이를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져아하고, 동맹관계를 만들고, 적을 완패시켜야 합니다.
This will then become your base from where you must expand, build alliances and annihilate your opponents. To build your city, improve it, and build an army, you need resources.
당신의 도시를 세우고, 향상시키며, 군대를 형성하려면 자원이 필요합니다. 고기, 돌, 나무 그리고 금속은 당신의 마을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일을 시키면서 충분히 공급 받을 수 있습니다.
Everything has been customized with great care and attention to make each civilisation as historically accurate as possible. Although 0 A.D. started out as an 'Age of Empires II: The Age of Kings' clone, it soon evolved into a standalone game with its own graphics engine.
비록 0 A.D가 '에이지오브 엠파이어 II:에이지오브 킹'클론으로 시작되었어도, 자체 그래픽 엔진으로 일체형 게임으로 바로 진화되었습니다. 그리고 0 A.D.는 아주 시각적이며 현재 '에이지오브 엠파이어' 프랜차이즈의 세번째 분할에 가까워졌습니다.
0 A.D. is very strong visually, and gets much closer to the third instalment of the 'Age of Empires' franchise. 0 A.D. is an outstanding real time strategy game that is open source and free to play.
0 A.D.는 뛰어난 실시간 전략 게임인 오픈 소스로 무료 게임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더욱이, 일찍이 빠른 개발에도 불구하고, 많은 상업적인 타이털에 우수한 게임 전략을 제공합니다.
Avocados is rich in vitamin E which is an antioxidant.
고구마에는 항산화 성분의 일종인 베타카로틴이 풍부하다.
The Omega-3 fatty acids and Potassium makes walnuts good for hair strengthening.
오메가-3 지방산은 혈액 순환을 돕고 심장 질환을 예방한다.
Flaxseeds are also good for hair growth.
뿐만 아니라 모발 건강에도 기여한다.
They contain essential fatty acids which are good sources of nutrients to the hair follicles.
모낭에 영양을 공급해 모발이 튼튼하게 자라도록 돕는 것.
Fatty fish such as Salmon, Mackerel, Tuna, Herring and Sardines are an excellent source of Omega-3 fatty acids.
고등어 외에 연어, 정어리 등을 통해서도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할 수 있다.
It also helps in the elimination of dandruffs from your scalp.
또한 모발에 윤기를 주고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돕는다.
CC BY
CC BY
The name of the author : it must be displayed on the title , source , including the author of the work
저작자표시 저작자의 이름, 저작물의 제목, 출처 등 저작자에 관한 표시를 해주어야 합니다
CC BY-NC
CC BY-NC
CC BY-ND
CC BY-ND
CC BY-SA
CC BY-SA
Attribution - Alike Illuminating the author freely available and possible changes in the work , but the derivative work , it must apply the same license as applied to the original work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고 저작물의 변경도 가능하지만, 2차적 저작물에는 원 저작물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합니다.
CC BY-NC-SA
CC BY-NC-SA
Attribution-Nonprofit-Alike Available, identify the author of the work, and change is possible , but can not be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derivative work , you must apply the same license and the original work
저작자를 밝히면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의 변경도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2차적 저작물에는 원 저작물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합니다
CC BY-NC-ND
CC BY-NC-ND
Attribution-Nonprofit-Change ban Illuminating the author freely available , but can not be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 you must use literally without change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Licence: CC BY-NC-ND
CC BY-NC-ND
CC BY
CC BY
The name of the author : it must be displayed on the title , source , including the author of the work
저작자표시 저작자의 이름, 저작물의 제목, 출처 등 저작자에 관한 표시를 해주어야 합니다
CC BY-NC
CC BY-NC
CC BY-ND
CC BY-ND
CC BY-SA
CC BY-SA
Attribution - Alike Illuminating the author freely available and possible changes in the work , but the derivative work , it must apply the same license as applied to the original work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고 저작물의 변경도 가능하지만, 2차적 저작물에는 원 저작물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합니다.
CC BY-NC-SA
CC BY-NC-SA
Attribution-Nonprofit-Alike Available, identify the author of the work, and change is possible , but can not be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derivative work , you must apply the same license and the original work
저작자를 밝히면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의 변경도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2차적 저작물에는 원 저작물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합니다
CC BY-NC-ND
CC BY-NC-ND
Attribution-Nonprofit-Change ban Illuminating the author freely available , but can not be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 you must use literally without change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anima_cooldog@daum.net
anima_cooldog@daum.net
Previous Chapter: Table of Contents Next Chapter: 2 Numbering
이전 장: 목차 다음 장: 2. 번호 할당
© International DOI Foundation Last updated: October 17, 2015
© 국제 DOI재단 • 최종 갱신 : 2015년 5월 7일
The DOI Handbook is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DOI® System.
DOI 핸드북은 DOI® 시스템에 관련된 중요한 문서이다.
The DOI website also includes other public information, news, events and Members-only information.
DOI 웹사이트는 다른 공공 정보, 뉴스, 이벤트, 회원전용 정보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The unqualified term "DOI" alone (which was used in the early years of the system's development) is now deprecated, as a potential source of confusion, and the preferred usage is with a qualifier to refer to either specific components of the DOI system (e.g. "DOI name": the string that specifies a unique referent within the DOI system); or the system as a whole ("DOI system": the functional deployment of DOI names as the application of identifiers in computer sensible form through assignment, resolution, referent description, administration, etc. as prescribed by the specification).
DOI 문서의 스키마 구조(schematic of DOI documentation)가 사용 가능하다. 시스템개발 초기에 사용된 “DOI”가 한정어 없이 단독으로는, 잠재적으로 혼동을 유발한다는 이유로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대신 DOI 시스템의 세부 구성요소(예를 들어, “DOI 이름”: DOI 시스템 내에서 고유한 대상체를 지칭하는 문자열), 또는 시스템 전체(“DOI 시스템”: 컴퓨터에 의해 센싱 가능한 형태의 식별자인 DOI 이름에 대한 할당(assignment), 해석(resolution), 대상체 설명(referent description), 관리(administration) 등의 기능적 집합체)를 지칭하기 위해 한정어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The DOI system originated in a joint initiative of three trade associations in the publishing industry (International Publish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tific, Technical and Medical Publishers; Association of American Publishers).
DOI 시스템은 출판업계의 세 개 연합 조직(International Publish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tific, Technical and Medical Publishers; Association of American Publishers)에서 시작하였다.
The system was announced at the Frankfurt Book Fair 1997. The International DOI® Foundation (IDF) was created to develop and manage the DOI system, also in 1997.
DOI 시스템은 1997년에 Frankfurt Book Fair 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1997년에 IDF(The International DOI® Foundation, 국제 DOI 재단)가 DOI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From its inception the IDF worked with the Corporation for National Research Initiatives (CNRI) as a technical partner, using the Handle System developed by CNRI as the digital network component of the DOI system.
IDF 는 창립 이래로 CNRI(Corporation for National Research Initiatives)에 의해 개발된 DOI의 디지털 네트워크 컴포넌트인 핸들 시스템(Handle System)을 사용하였고 동시에 CNRI 와 함께 파트너로 일해 왔다.
CNRI remains a technical partner of the IDF.
CNRI 는 지금도 IDF의 기술적 파트너이다.
From 1998 the Foundation worked closely with the indecs project (1998-2000) and a number of subsequent and continuing initiatives building on this. The indecs framework underpins the DOI data model and also the Vocabulary Mapping Framework (VMF).
1998년부터 IDF는 Indecs 프로젝트(1988-2000)와 수많은 후속 프로젝트들과 함께 긴밀하게 일하여 왔다.Indecs 프레임워크는 DOI 데이터 모델과 VMF( Vocabulary Mapping Framework )의 근간이 되었다.
IDF now hosts the VMF web site and participates in VMF governance; the IDF's data dictionary is a namespace within VMF.
IDF 는 현재 VMF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VMF 거버넌스에 참여하고 있다. IDF의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은 VMF 내의 하나의 네임스페이스(namespace) 이다.
In 2000 the syntax of the DOI was standardised through NISO. The DOI system was approved as an ISO standard in 2010.
2000년에는 DOI 문법이 NISO 에 의해서 표준화되었다. 또 2010년에 DOI 시스템은 ISO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Some papers describing progress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DOI initiative are listed in the Bibliography.
DOI 이니셔티브 초기 10년간의 진행사항을 기술한 문서들이 참고문헌에 나열되어 있다.
Material appearing in earlier versions of the DOI web site has now been archived.
DOI 웹사이트의 초기 버전들의 자료들 또한 보존되어 있다.
Conformance with this DOI Handbook ensures conformance with relevant applicable formal Standards.
이 DOI 핸드북을 준수하는 것은 관련된 공식적인 표준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DOI is a registered URI within the info-URI namespace (IETF RFC 4452, the "info" URI Scheme for Information Assets with Identifiers in Public Namespaces).
DOI 는 info-URI 네임스페이스(IETF RFC 4452, 공공 네임스페이스에서 식별자를 갖는 정보 자산에 대한 "info" URI 스키마) 내에 등록된 URI 이다.
DOI names may also be expressed as URLs (URIs) through a http: proxy server.
DOI 이름은 http: 프록시 서버를 통해 URL(URI)의 형태로 표현된다.
The DOI system implements the Handle System (IETF RFC 3650, 3651, 3652).
DOI 시스템은 핸들시스템(IETF RFC 3650, 3651, 3652)으로 구현한다.
Norman Paskin wrote a history/case study of DOI standardization, "The Digital Object Identifier: From Ad Hoc to National to International" that was published in The Critical Component: Standards in the Information Exchange Environment (2015), edited by Todd Carpenter (ISBN13: 978-0-8389-8744-5) published by ALCTS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Publishing).
"Norman Paskin은 DOI 표준화의 역사/사례 연구에 대해 기술 하였다, "The Digital Object Identifier: From Ad Hoc to National to International", The Critical Component: Standards in the Information Exchange Environment(2015), Todd Carpenter(ISBN13: 978-0-8389-8744-5) 편집, ALCTS(American Library Association Publishing) 출판.
A PDF ebook (ISBN: 978-0-8389-8745-2) and EPUB (ISBN: 978-0-8389-8746-9) bundle are also available through the ALA Store online.
PDF 전자책(ISBN: 978-0-8389-8745-2)과 EPUB(ISBN: 978-0-8389-8746-9) 묶음이 ALA 스토어 온라인을 통해 입수 가능하다.
DOI®, DOI.ORG® and shortDOI® are registered trademarks of the International DOI® Foundation (IDF).
DOI®, DOI.ORG®, shortDOI®는 국제 DOI® 재단(IDF)의 등록상표이다.
IDF authorizes users who correctly implement International Standard ISO 26324 to use the trademark free of charge to indicate such implementation; however, this authorization applies only and exclusively in the context of such use. IDF is willing to authorize anyone who creates software or other products or services implementing ISO 26324 to use the trademark DOI free of charge provided that:
IDF는 국제표준 ISO 26324를 올바르게 구현하려는 사용자들을 공인해준다. IDF는 소프트웨어나 다른 제품들 혹은 서비스에 DOI의 상표를 무료로 사용하여 ISO 26324를 구현하려는 모든 사람에게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때 공인해 준다.
A re-sizable version of the DOI logo for Internet use under these conditions can be downloaded here as a convenience for companies, organizations and the press. Inclusion of this logo should not be used to imply IDF's endorsement of the company, product or services.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회사, 조직, 출판사들의 인터넷 사용자들을 위해 DOI 로고가 여기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이 로고는 회사,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IDF의 보증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The following introduction is taken from ISO 26324.
다음 소개 부분은 ISO 26324 에서 가져온 것이다.
The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system provides an infrastructure for persistent unique identification of objects of any type.
디지털 객체 식별자[DOI®] 시스템은 모든 유형의 객체에 대한 항구적이고 고유한 식별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한다.
DOI is an acronym for "digital object identifier", meaning a "digital identifier of an object" rather than an "identifier of a digital object".
DOI는 "Digital Object Identifier"의 약어이며, "디지털 객체의 식별자(identifier of a digital object)"가 아니라 "객체의 디지털 식별자(digital identifier of an object)"를 의미한다.
The DOI system was initiated by the International DOI Foundation in 1998, and initially developed with the collaboration of some participants in ISO/TC46/SC9. Due to its application in the fields of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and previous collaboration with some ISO/TC46/SC9 participants, it was introduced as a possible work item in 2004 and further developed from 2006 to 2010.
DOI 시스템은 1998년에 국제 DOI 재단에 의해 시작되었고, 처음에 ISO/TC46/SC9의 일부 참가자들이 협력하여 개발하였다. 이것은 정보 / 문서 분야에서의 적용과 이전 일부 ISO/TC46/SC9의 참가자들과의 협력으로 인해 DOI 는 2004년에 실현가능한 과제로 소개되었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더욱 발전되었다.
The DOI system is designed to work over the Internet.
DOI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A DOI name is permanently assigned to an object to provide a resolvable persistent network link to current information about that object, including where the object, or information about it, can be found on the Internet. While information about an object can change over time, its DOI name will not change.
DOI 이름은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객체의 위치와 그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의 현재 정보에 대한 해석 가능하고 항구적인 네트워크 링크를 제공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객체에 할당된다. 객체에 대한 정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그 DOI 이름은 변경되지 않는다.
A DOI name can be resolved within the DOI system to values of one or more types of data relating to the object identified by that DOI name, such as a URL, an e-mail address, other identifiers and descriptive metadata.
DOI 이름은 DOI 시스템 내에서 그 DOI 이름으로 식별되는 객체와 관련된 하나 또는 다수의 데이터 유형의 값(URL, 이메일 주소, 다른 식별자 및 설명 메타데이터 등 ) 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DOI system enables the construction of automated services and transactions.
DOI 시스템은 자동화된 서비스와 거래의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Applications of the DOI syste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anaging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location and access; managing metadata; facilitating electronic transactions; persistent unique identification of any form of any data; and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transactions.
DOI 시스템의 응용은 정보 및 문서의 위치와 접근의 관리에 제한되지 않으며 메타데이터의 관리, 전자 거래의 촉진, 데이터의 종류와 형식에 상관없는 항구적이고 고유한 식별, 상업 및 비상업 거래 등을 포함한다.
The content of an object associated with a DOI name is described unambiguously by DOI metadata, based on a structured extensible data model that enables the object to be associated with metadata of any desired degree of precision and granularity to support description and services.
DOI 이름과 연관된 객체의 콘텐트는 DOI 메타데이터에 의해 명확하게 기술된다. 이것은 객체의 기술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밀도와 세분화 정도를 가진 메타데이터와 객체가 연관되도록 구조화된 확장 가능한 데이터 모델에 기초하여 기술된다. 데이터 모델은 DOI 어플리케이션 간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한다.
The scope of the DOI system is not defined by reference to the type of content (format, etc.) of the referent, but by reference to the functionalities it provides and the context of use.
DOI 시스템의 범위는 대상체 콘텐트(형식 등)의 유형을 참조하여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제공 기능과 사용 문맥을 참조하여 정의된다.
The DOI system provides, within networks of DOI applications, for unique identification, persistence, resolution, metadata and semantic interoperability.
DOI 시스템은 DOI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한 식별성을 위해 항구성, 해석가능성, 메타데이터와 의미적 상호운용성을 제공한다.
This overview provides a short summary of the DOI system.
이 개요는 DOI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요약을 제공한다.
See also the summary factsheet Key Facts on Digital Object Identifier System.
DOI 시스템 측면에 대한 명확한 정보는 이 핸드북의 관련 장과 DOI 시스템에 대한 요약 관련정보인 Key facts on Digital Object Identifier System 을 참조하라.
The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was conceived as a generic framework for managing identification of content over digital networks, recognising the trend towards digital convergence and multimedia availability. Its key features include persistence, network accessibility, interoperability with other identifiers, shared fault-tolerant infrastructure, and the ability to resolve the identifiers in multiple forms.
디지털 컨버전스와 멀티미디어 가용성에 대한 추세에 따라 디지털 객체 식별자(DOI) 는 디지털 네트워크 상에서 콘텐트의 식별을 관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로 여겨졌다. 주요 특징으로 항구성, 네트워크 접근성, 다른 식별자와의 상호운용성, 공유된 내고장성(fault-tolerant) 인프라 및 다중 형태의 식별자들에 대한 해석가능성을 포함한다.
DOI is standardized as ISO 26324.
DOI는 ISO 26324 표준이다.
The DOI system is implemented by Registration Agencies who provide domain-specific identifiers for various applications using the underlying DOI framework. For example, Crossref manages DOIs for the scientific publishing industry, DataCite provides DOIs for referencing and sharing scientific datasets, and the Entertainment ID Registry (EIDR) provides identifiers and associated metadata that are used in the commercial film and video industry, from post-production through broadcast, digital distribution, and reporting.
DOI 시스템은 기본 DOI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도메인별 식별자를 제공하는 등록관리기관에 의해 구현된다. 예를 들어, CrossRef 는 과학 출판 업계에 대한 DOI 를 관리하고, DataCite 는 과학데이터 세트를 참조하고 공유하기 위해 DOI 를 제공하며, 엔터테인먼트 식별자 레지스트리(EIDR)는 포스트 프로덕션(필름 촬영 후 상영까지의 제작)에서부터 방송, 디지털 배포분야까지 상업 영화 및 비디오 산업에 사용되는 식별자와 관련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Because the DOI system is designed for network awareness and interoperability, it is easy to build a wide variety of modern applications using DOIs. For example, the DOI system is used in internal processes in multiple industries, for publishing and reporting across corporate and national boundaries, and in the emerging field of semantic web applications.
DOI 시스템은 네트워크 내 인식과 상호운용성을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DOI 를 이용한 현대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구축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DOI 시스템은 다양한 산업의 내부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기업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 시맨틱 웹 어플리케이션의 신흥 분야에서까지도 활용될 수 있다.
1.6.1 The DOI system concept
1.6.1 DOI 시스템의 개념
DOI is an acronym for "digital object identifier", meaning a "digital identifier of an object".
DOI는 "객체의 디지털 식별자(digital identifier of an object)"를 의미하는 “Digital Object Identifier”의 약자이다.
A DOI name is an identifier (not a location) of an entity on digital networks. It provides a system for persistent and actionable identification and interoperable exchange of managed information on digital networks. A DOI name can be assigned to any entity physical, digital or abstract primarily for sharing with an interested user community or managing as intellectual property.
DOI 이름은 디지털 네트워크상의 개체에 대한 위치가 아니라 식별자이다. 그것은 항구적이고 동작 가능한 식별 및 디지털 네트워크에서 관리되는 정보의 상호 교환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DOI 이름은 관심있는 사용자 커뮤니티 내에서의 공유나 지식재산권으로 관리하기 위해 물리적 개체, 디지털 개체 또는 추상적인 개체에 할당될 수 있다.
The DOI system is designed for interoperability; that is to use, or work with, existing identifier and metadata schemes.
DOI 시스템은 상호운용성을 위해 설계되었다. 즉, 기존의 식별자 및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사용하거나 함께 동작한다.
DOI names may also be expressed as URLs (URIs).
DOI 이름은 URL(URI)로 표현될 수 있다.
Many millions of DOI names have been assigned to date, through a growing federation of Registration Agencies world-wide. For example, the Crossref application is used by more than 4,800 publishers and societies to enable cross-citation of scholarly publications; the DataCit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data centres uses the DOI system; and the Entertainment Identifier Registry applies DOI names to film and broadcast assets.
전세계 등록관리기관 연합의 성장을 통해 현재까지 수백만 개의 DOI 이름이 할당되었다. 예를 들어, CrossRef 는 4,800 개 이상의 출판사와 학회에 의해 학술 출판물의 상호인용이 가능하도록 사용된다. 또 데이터센터의 DataCite 국제 연합도 DOI 시스템을 사용한다. 엔터테인먼트 식별자 레지스트리(Entertainment Identifier Registry)는 DOI 이름을 영화 및 방송 자산에 적용한다.
The DOI system implements the Handle System® (a general-purpose global name service enabling secure name resolution over the Internet) and the indecs Framework (a generic ontology-based contextual data model structure).
DOI 시스템은 핸들 시스템®(인터넷상에서 안전한 이름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범용의 글로벌 네임서비스)과 indecs Framework (일반 온톨로지 기반 상황 인지 데이터 모델 구조)를 구현한다.
The entity assigned a DOI name can be a representation of any logical entity.
DOI 이름이 할당된 개체는 논리적 개체의 한 표현이 될 수 있다.
1.6.2 DOI system components
1.6.2 DOI 시스템 구성 요소
The DOI system provides a ready-to-use packaged system of several components:
DOI 시스템은 여러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바로 사용 가능한 패키지를 제공한다.
1.6.3 DOI name syntax
1.6.3 DOI 이름 구문
The DOI name syntax specifies the construction of an opaque string with naming authority and delegation. It provides an identifier "container" which can accommodate any existing identifier.
DOI 이름 구문은 명명(naming) 권한과 위임을 통해 모호한 문자열의 구성을 명시한다. 그것은 기존의 식별자를 수용할 수 있는 식별자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The DOI name has two components, the prefix and the suffix, which together form the DOI name, separated by the "/" character. The portion following the "/" separator character, the suffix, may be an existing identifier, or any unique string chosen by the registrant.
DOI 이름을 형성하는 두 개의 구성 요소인 접두사와 접미사를 가지고 있다. 구분자 "/" 뒤에 나오는 접미사는 기존의 식별자 또는 등록자가 선택한 고유한 문자열이 될 수 있다. "/" 문자 앞부분(접두사)은 고유한 명명 권한 기관(naming authority)을 나타낸다.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length of a DOI name.
DOI 이름의 길이에는 제한이 없다.
A DOI name may be assigned to any entity, which must be precisely defined by means of structured metadata. The DOI name itself remains persistent through ownership changes, and unaltered once assigned.
DOI 이름은 어떤 개체에도 할당될 수 있는데, 그 개체는 구조화된 메타데이터에 의해 정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한번 할당되면 DOI 이름 자체는 소유권이 변경이 되더라도 항구적으로 남으며 변경되지 않는다.
An existing standard identification system number such as ISBN may be incorporated into a DOI name, by using this as the suffix, if the registrant finds it convenient to do so, but must ensure that precisely the same entity be identified by the two systems.
ISBN 과 같은 기존 표준 식별 시스템도 이러한 접미사를 사용해서 DOI 이름에 통합될 수 있다. 등록자가 DOI 시스템의 이러한 편리함을 추구한다면, 동일한 개체가 두 시스템에 의해 정확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For more information, see Chapter 2, Numbering.
자세한 내용은 2. 번호 할당을 참조하라.
1.6.4 DOI name resolution
1.6.4 DOI 이름 해석
The resolution tool used in the DOI system is the Handle System. This has advantages over other mechanisms including global scalability, full Unicode character support, and security.
DOI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해석 도구(resolution tool)는 핸들 시스템(Handle system) 이다. 이 시스템은 글로벌 확장성, 전체 유니코드 문자 지원 및 보안을 포함하는 점에서 다른 메커니즘보다 유용한 장점이 있다.
The Handle System implementation in the DOI system has been supplemented by expanded technical infrastructure and features specific to DOI system applications.
DOI 시스템의 핸들 시스템 구현은 확장된 기술 인프라와 DOI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되어 보완되고 있다. 핸들 시스템은 관계를 표현하는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제한조건이 없다.
The Handle System has no pre-existing constraints to define a framework to express relationships; the DOI system is an application of the Handle System which adds constraints for a specific purpose of content management.
DOI 시스템은 콘텐트 관리라는 특정 목적을 위해 핸들 시스템에 제한조건을 추가한 어플리케이션이다.